OSM에서 ‘길'(Key:highway) 가운데 '주요도로' 갈래지어 보기(23년 5월 1일)

OSM 위키문서에서 ‘길’ 갈래 가운데 주요길 갈래에는 motorway, trunk, primary, secondary, tertiary, unclassified, residential 같은 여러 값이 있습니다.(unclassified는 한국에는 해당하지 않음)
이 가운데 'motorway’는 ‘고속도로’, 'trunk’는 '고속화도로’로 또렷하게 갈래지을 수 있겠습니다.('고속화도로’는 주요도로 가운데 계층적 성격에서는 살짤 벗어나기는 하지만 그 특성이 또렷하고 독립적이기에 계층적 갈래에 넣어도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나머지는 우리나라 실정에서 갈래짓는 기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볼 수 있어 꼭맞게 떨어지도록 갈래짓기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의 실정에만 맞게 새로 키 값을 만들기도 그렇고, 이왕이면 있는 공통 키 값에 가장 비슷하게 맞물리게 하고자, 여러 길의 속성들을 살펴 볼까 합니다.

먼저, 우리나라 길[도로] 체계부터 알아야 할텐데, ‘관리 주체에 따라’, ‘기능에 따라’ 혹은 '사용형태나 규모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도로법”에 따르면 관리 주체에 따르면,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노선은 공기업 한국도로공사가 국토교통부로부터 위탁받아 건설, 유지 및 관리를 하고 있는 ‘고속국도’(고속도로),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는 ‘일반 국도’, 특별시장·광역시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 그 밖에 시장·도지사가 관리하는 ‘지방도’, 시장·군수·구청장이 관리하는 기타 군,시도 그리고 역시 시장·도지사가 관리하는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크게는 ‘고속국도’, '일반 국도’그리고 광역 지자체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와 '지방도’를 묶어서 ‘지방도’, 시장·군수·구청장이 관리하는 ‘시도·군도·구도’ 정도로 뭉뚱그려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밖에도 차선 수나 넓이에 따라 나누기도 하고, 기능에 따라 ‘주도로’, ‘간선도로’, ‘집산도로’, 규모에 따라 ‘광로’, ‘대로’, ‘중로’, '소로’처럼 나누기도 하나 그 나눔이 그리 또렷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OSM의 계층적 분류에 따라 ‘고속국도’(고속도로)는 ‘highway=motorway’로, '일반 국도’는 ‘highway=primary’, '지방도’는 ‘highway=secondary’, 그 밖의 '시도·군도·구도’는 ‘highway=tertiary’로 나눌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개념 상으로는 구분이 뚜렷하고 별 문제가 없으나, 일반 사람은 쉽게 알기 어려운 정보가 들어 있어, 이와 함께 좀더 알기 쉬운 기준과 함께 정리를 해 볼까 합니다.

먼저, 여러 분류 기준 가운데 그나마 가장 확실하고 ‘그나마’ 또렷한 '관리 주체’를 기본으로 해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한 지도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국토부 '브이월드’나 상업지도 가운데 일부는 색깔로서 비교적 또렷하게 구분을 해 주고 있어 참고를 하기가 좋습니다.
여기서 '관리주체를 기본으로 한’다는 얘기는, 혹시라도 두 가지 가운데 서로 부딪히는 속성이 있다면 '관리 주체’를 기준으로 나눈 분류에 따르는 것이 보다 확실하겠다는 뜻입니다.

수원 시청 근방을 보기를 들어 보겠습니다.(‘수원수원수원’ 님 고맙습니다. ^^)
이미지에서 진한 주홍선은 '경수대로’로 primary가 되겠습니다.(국토부 '브이월드’에서는 연주홍선, 다음지도에서는 진노란선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연한 주홍선은 secondary가 되겠습니다.(국토부 '브이월드’에서는 연자주선, 다음지도에서는 연노란선)
노란선(눈에 잘 띄지 않습니다만, 이미지 왼 쪽에 현대아파트와 삼산빌딩 옆을 남북으로 지나는 선)은 tertiary가 되겠습니다.(국토부 '브이월드’나 상업지도에서도 색깔은 없고 이름이 '~로’입니다.)
이미지에서는 노란 선으로 표시했습니다만, 지도를 찾아 보시면 아시겠지만 막상 지도에서는 secondary와 tertiary의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 이건 아무래도 관리주체에 따른 분류 쪽을 따라는 것 같습니다.
그 다음, 색깔이 없으면서 '~길’은 residential이 되는 것입니다.(적어도 주요도로 분류 가운데서는 'residential’이 된다는 뜻이지, 모든 '~길’이 residential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비주요도로는 계층적 구분이 아니므로 이름이 '~길’이라고 해서 반드시 residential이 아닐 수도 있으며, 특히 시골 지역에는 비주요도로로 임도나 농사길에도 '~길’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굳이 계층적 분류에 얽매이지 말고 track으로 지정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한국-남한-에만 해당됩니다.)

  • motorway : 고속국도(고속도로)
  • trunk : 고속화도로(도시고속도로 등)
  • primary : 일반 국도.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 기준으로 연주홍선. 다음지도 기준으로 주황선.
  • secondary : (광역 지자체장이 관리하는 ‘특별시도·광역시도’와 ‘지방도’를 묶어서)지방도. 국토부 지도인 ‘브이월드’ 기준으로 연자주선. 다음지도 기준으로 연주황선.
  • tertiary : 시도·군도·구도. 무색선 가운데 ‘~로’
  • unclassified : 한국에는 해당 없습니다.
  • residential : 주거지 안길이면서 무색선 가운데 ‘~길’.

1 post - 1 participant

Read full topic


Ce sujet de discussion accompagne la publication sur https://community.openstreetmap.org/t/osm-key-highway-23-5-1/98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