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아시다시피 osm은 밑바탕 데이터로써 값어치가 큰데, 우리가 편집해 넣는 정보들이 여러가지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설령 완전히 현실을 반영하지는 않더라도)왠만한 정보들이 많이 들어가 있을수록 값어치가 더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OSM을 편집하다보니, 여전히 '도로’와 '통행’에 대해서는 자동차 중심의 정보에 너무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닌가 싶고, 사람이 두루 쓸 수 있는 여러 요소들에 대한 정보가 많이 모자란 것 같습니다.
보기를 들어 우리가 '도로’라고 하면 흔히 자동차가 다니는 길을 생각하지만 사실은 ‘조금 넓은 길’, '공식적인 길’을 뜻할 뿐입니다.
'통행’에 있어서도 우리가 자동차를 많이 이용하기는 하지만 결국은 사람이 움직이는 것을 전제로 할 때가 많습니다.
대개는 자동차가 다니도록 되어 있는 길에는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차도와 구분되는)'인도’가 흔히 있지만 가끔은 '인도’가 없는 경우도 있으며, 때로는 차도와 따로 사람을 위한 보도가 사람의 통행을 이어주기도 합니다.
이번에 눈에 띈 것은, 역처럼 건물을 통해 길(통로)가 이어지는 경우에 흔히 사람이 다닐 수 있는 길(경로)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꽤 확인하였습니다.
이런 경우 (OSM을 통해)길찾기를 하면 사람이 걸어서 닿을 수 있는 곳이 서로 나뉘어져 있거나 혹은 아주 멀리 돌아서 가도록 안내를 받게 됩니다.
또 한 가지, 우리나라는 그동안 많이 나아졌음에도 여전히 교통약자들에 대한 ‘근본적인’ 배려가 좀 모자란 편인데, 흔히 교통약자들도 사람길(인도, 보도)를 통해 움직일 수 있지만 현실은 여러가지 사정으로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난데없는 턱이나 여러 장애물 등)
이 역시 건물 같은 데서 작은 턱 때문에 접근할 수 없거나 혹은 거꾸로 엘리베이터나 경사길이 마련되어 있으나 표시되지 않아서 장애인이 접근할 수 없는 시설물로 표시되는 경우도 꽤 흔합니다.
지형지물을 편집하면서 계단이나 경사길이나 엘리베이터 같은 것도 조금 더 신경써서 표시하면 여러모로 더 좋지 않을까 싶어 의견을 적어 봅니다.
요약
- 건물을 지나는 경로에 경로(통로) 표시를 하도록 애썼으면 좋겠습니다.
- 교통약자를 위한 여러가지 정보에도 조금 더 신경을 쓰면 좋겠습니다.
3 posts - 2 participants
Ce sujet de discussion accompagne la publication sur https://community.openstreetmap.org/t/topic/96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