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다]문화와 얽혀 ‘문’과 ‘일주문’, ‘홍살문’ 같은 것에 대하여…

앞서 어느 글에서도 썼습니다만,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OSM)을 편집하다 보면 여러가지로 공부가 되기도 하고 또 개념을 정확하게 잡으려다 보면 공부를 안 할 수가 없게 되기도 합니다.
여튼, ‘지리’라는 것이 ‘문화’하고도 얽혀 있다 보니 뜻하지 않게 문화 쪽으로나 역사 쪽으로나 여러가지로 공부가 많이 됩니다.
앞서는 ‘탑’, ‘부도’, ‘pagoda’, ‘stupa’ 같은 얘기를 했는데, 이번에는 ‘관문’, ‘일주문’, ‘홍살문’(토리이, 패방) 같은 얘길 해 보겠습니다.

OSM에서 ‘일주문’(一柱門;Iljumun:One-Pillar Gate)은 어떻게 갈래지어야 할까요?
어쨋든 넓게 봐서는 기둥과 지붕이 있는 ‘건물’이니 ‘building’이겠으나 ‘building’에도 여러가지가 있는 지라… 특히나 OSM에서는 아주 폭넓게 보기 때문에 뭐라도 가려져 있으면 전부 ‘건물’로 보며 심지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는 것조차도 ‘건물’로 보고 있습니다.(‘배 위 집’ 같이…)
‘일주문’ 역시 ‘건물’이기는 한데, 다른 역할은 없이 기둥과 지붕으로만 되어 있고 우리가 흔히 ‘일주문’이라고 부르기는 하나 흔히 통제의 구실을 하는 ‘문’과 달리 그냥 구조물일 뿐입니다.
여느 ‘건물’과 가장 다른 점이라면 역시 벽이 없다는 것이겠습니다. 그것을 가장 쉽게 알 수 있는 것이 보통 절에서 ‘일주문’ 안에 있는 ‘천왕문’(천왕각)인데, 적어도 두 줄 이상의 기둥을 가지고 있고 벽체도 있으며 사천왕상이 모셔져 있어 여러 구실을 더불어 하고 있습니다.
천왕문은 같은 ‘문’으로 불리지만 사실 버젓한 건물이란 점에서는 ‘천왕각’이 더 정확할 테고, 이 곳이야 말로 절의 큰문으로써 구실을 하고 있습니다.(‘일주문’에는 아무 장애물이 없으나 ‘천왕문’에는 보통 문짝이 달려 있고 이 곳이 실질적인 절의 대문 구실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역 상으로는 ‘일주문’ 부터가 절의 영역)
그리고 ‘일주문’은 그 모양에서도 가끔 따로 받침기둥을 쓰기도 하지만 주기둥은 한 줄로만 씁니다.(가끔 이런 규칙에서 벗어날 법도 한데, 기둥을 두 줄로 쓴 경우는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그냥 구조물이되 그렇다고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고, (일주문의 경우)절이 시작됨을 알리고 또 엄숙하기를 알린다는 점에서는 ‘홍살문’과도 같은 구실입니다.(‘홍살문’ 역시 영역 표시이고 장애물은 없습니다.)
역시 일본의 ‘토리이’(鳥居)나 중국-그리고 중국 영향이 큰 동남아 일부 나라들-의 ‘패방’(‘패루’라고도 함)이 같은 구실을 하는 구조물입니다.(하지만 적어도 ‘절’ 구조에서 만큼은 한국에만 일주문이 있다고도 합니다. ‘일주문’의 갈래를 짚어가다 보면 그 까닭을 알 수 있습니다.)
의미 상으로 보자면 ‘홍살문’과 같은 계열로 묶을 수도 있겠고, 모양으로 보자면 ‘건물’ 가운데서도 ‘지붕’으로 보는 것이 가장 알맞을 것 같은데, 그것은 바로 ‘문’이나 다른 구실을 전혀 없이 그저 시작점을 알리는 이정표와 별로 다르지 않은 구실 때문입니다.
한국의 ‘홍살문’에서는 지붕을 씌운 것을 전혀 보지 못 했으나, 일본 ‘토리이’ 가운데는 살짝 지붕 모양을 씌운 것도 있고, 특히 중국의 ‘패방’의 경우에는 아예 제대로 지붕을 씌우거나 심지어 일주문과 달리 기둥을 네 개를 세워 더 크게 만든 것도 있습니다.

‘일주문’은 ‘스투파’ 입구의 문인 ‘토라나’(torana)에서 왔다고 합니다. 이것이 홍살문, 중국의 패방, 일본의 토리이로 전해졌는데, 실제로 아주 옛날 절 앞에는 홍살문과 비슷한 것이 일주문 구실을 했다고 합니다.
그러니 결국 어디에 쓰이는가에 따라 다른 뿐, 일주문이나 홍살문은 결국 같은 것이라 하겠습니다.

4 posts - 2 participants

Read full topic


Ce sujet de discussion accompagne la publication sur https://community.openstreetmap.org/t/topic/97031